반응형 OS6 [OS] - Virtual Memory - Non-continuous allocation 1. Non-contiuous allocation사용자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block으로 분할실행 시, 필요한 block들만 메모리에 적재나머지 block들은 swap device에 존재(ex). Disk)1.1 Address MappingVirtual address → Real address1. Continuous allocationRelative address (상대 주소)- 프로그램 시작 주소를 0으로 가정한 주소Relocation (재배치)- 메모리 할당 후, 할당된 주소에 따라 상대 주소들을 조정하는 작업2. Non-continuous allocationVirtual address (가상 주소) = relative address- Logical address- 연속된 메모리 할당을 가정한 주소.. 2024. 6. 26. [OS] - Scheduling Algorithms 추가적으로 Scheduling Algorithm들을 더 기록해두려고 합니당😊1.Priority Scheduling앞서 이미 우선 순위 스케줄러의 예들을 봤습니다.- SJF, STCF는 모두 우선 순위 스케줄러 입니다. (우선순위 = CPU Burst Time)우선 순위 스케줄링 문제- Starvation: 우선 순위가 높은 작업이 CPU를 지배 할 수 있는 문제점해결책- 프로세스 동작에 따라 설정- 대기 시간에 따라 설정ex) 준비 대기열에서 소요 된 시간1.1 EDF (Earliest Deadline First)Preempt AlgorithmDeadline 존재Deadline이 가장 가까운 것을 scheduling 한다Optimal Algorithm 이다.why? -> Preempt Scheduler.. 2024. 6. 26. [OS] - Scheduling 1. CPU Scheduling1.1 CPU Schedulingprocess들에게 CPU를 할당해주는 작업왜 cpu scheduling이 필요할까?CPU 이용률(utilization)을 최대화하기 위해Throughout 단위 시간당 완료되는 process수를 증가시키기 위해Turnaround Time(시작해서 끝나는 시간), process 실행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Waiting Time process가 ready queue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Response Time 프로그램의 응답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Turnaround Time: 처음에 요청돼서 끝날때까지의 시간Waiting Time: 처음에 요청돼서 끝날때까지의 시간 사이에 ready process에서 대기했던 시간Response T.. 2024. 6. 25. [OS] - Thread 1. 스레드 (Thread)프로세스가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단위로 프로세스는 최소 한 개 이상의 스레드를 가진다.프로세스 주소 공간 중 코드, 데이터, 힙은 스레드 간 공유되며 스택만이 스레드 별로 할당된다.Light Weight Process (LWP)구성요소- THread ID- Register set (PC, SP 등)- Stack (i.e, local data)여러개가 있을 수 있음같은 프로세스의 스레드들은 동일한 주소 공간을 공유한다.1.1 스레드의 장점사용자 응답성- 일부 스레드의 처리가 지연되어도, 다른 스레드는 작업을 계속 처리 가능자원 공유 (Resource Sharing)- 자원을 공유해서 효율성 증가 (커널의 개입을 피할 수 있음)ex) 도일 address space에서 스.. 2024. 6. 25.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