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41 [Django] - Nginx + Gunicorn 연동 (2) 1. Nginx란이전에 gunicorn을 이용해 서버 가동을 했다면 이제는 웹서버인 Nginx와 연동해 서비스를 꾸려나가볼 것입니다.우선 Nginx는 트래픽이 많은 웹사이트의 서버(WAS)를 도와주는 고성능 경량 웹 서버입니다.apache의 단점들을 보완해 나온 것이 Nginx인데, 장점을 이야기해보면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높은 성능높은 동시성낮은 자원 사용특징Single Thread 기반으로 context switching을 하지 않음이벤트 지향 아키텍처(Event-driven Architecture) 방식 이용- 메모리 생성 속도 ↑, 적은 쓰레드로 많은 클라이언트 처리apache가 제공하는 모든 기능 제공 (LB, 메일 프록시 등)2. 사용법1. Nginx 설치Nginx는 아래의 명령어로 설치 가.. 2024. 11. 15. [Django] - SMTP 이용해 메일 보내기 1. SMTP갑자기 코드로 메일을 대신 보내준다는게 너무 신기해 바로 찾아봐 적용해봤습니다. 그리고 해당 기능을 추후에는 Celery와 엮어서도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우선 SMTP란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메일을 송수신하는 서버를 SMTP 서버라고 부릅니다.2. 호딱 써보기백문이 불여일견~ 일단 호딱 해보겠습니다.1. GmailGmail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 법을 찾아보았는데 우선 보안 수준을 낮춰주어야합니다.하지만... 일반 계정은 5월 달부터 다음처럼 사용 중지되었습니다..workspace를 이용하면 가능한데 돈을 내야하니 패스하겠습니다2. Naver바로 네이버로 호딱 와버렸습니다. 설정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 2024. 11. 14. [Django] - Nginx + Gunicorn 연동 (1) 1. runserver아래의 코드 한 줄 이면 서버 가동부터 재시작까지 모두 다해주는 우리 runserver 평생 같이 할 줄 알았는데 Django의 내장 서버 (runserver)는 실서비스에 부적합하다. 라는 이야기를 듣고 왜인지 찾아봤습니다.python manage.py runserver이전까지 저는 runserver를 이용해 백그라운드로 돌려도 상관없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 온 사람으로써 해당 글을 보고 다시 한 번 깨우치게 되었습니다🤦♂️Django는 왜 runserver를 사용하지 않을까?결론은 Django 내장 서버는 보안과 성능테스트를 거치지 않았기에 개발용으로만 사용하고, 실제 운영중인 환경 구축은 wsgi와 웹서버로 서비스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2. GunicornGunicorn은.. 2024. 11. 13. [DRF] - Unit Test 1. Test란우리는 API를 개발한 후 기능이 정상 작동하는지 체크하기 위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업을 진행합니다.수동으로는 크게 POSTMAN을 이용해 작업을 진행했는데 API가 별로 없으면 괜찮지만 수없이 많고 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수작업으로 하기에는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나 크게 소모가 된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API 문서를 만들어 놓더라도 보고 테스트하는 사람마다 똑같이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느꼈고 여기서 코드로 구성을 해놔야만 하겠다 생각했습니다.그래서 자동으로 하는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되게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겠지만 저는 pytest를 간략하게 사용해보고, DRF Test를 이용해 본격적으로 코드를 구성했습니다.2. DRF Test1. 사용법다음은 DRF 공식문서에 명시되어 있.. 2024. 11. 12. 이전 1 2 3 4 ··· 11 다음 반응형